[그래픽 뉴스] 코로나 우울증<br /><br />누군가를 만나거나 외출하기 걱정스럽고 어딜 가나 조심해야 하고 코로나19가 바꾼 일상에 답답함과 무력감 느끼는 분들 있으시죠.<br /><br />우울감을 호소하는 분들도 적지 않은데요.<br /><br />2차 대유행 조짐이 보이면서 국민의 정신 건강에도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 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우울증, 즉 '코로나 블루'는 코로나19 때문에 우울감이나 무기력을 느끼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생긴 신조어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로 인한 정신 건강 악화는 세계보건기구에서도 "정신보건 분야에 전례없는 위기"라며 "초대형 악재"라고까지 표현했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이달 3일까지 국가트라우마센터,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에서 이뤄진 코로나 관련 우울증 상담 건수가 37만4천여 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작년 한 해 동안의 상담 건수가 35만3천여 건이었는데 불과 6개월 만에 이 수치를 크게 넘어선 겁니다.<br /><br />병원을 찾는 코로나 우울증 호소 환자도 부쩍 늘었다는 게 의료계의 목소리인데요.<br /><br />아이들의 경우도 예외가 아닙니다.<br /><br />서울대병원 김붕년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지난 2월에서 6월까지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로 내원한 환자의 65%가 증상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친구나 교사와의 교류가 줄고 신체활동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최전선에 있는 의료진과 방역 인력 3명 중 1명은 '번아웃', 즉 소진 상태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 등이 경기도 코로나19 치료·인력 인식 조사 결과인데요.<br /><br />10명 중 7명은 코로나19 업무와 관련해 '울분'을 경험했다고 답했습니다.<br /><br />사회 전반으로의 확산이 우려되는 코로나 우울증.<br /><br />사회학자 렌 펄린의 스트레스 확산 개념에 따르면 코로나19는 '감염 위험'이라는 1차 스트레스를 넘어 사회적 고립, 부양 부담 증가, 가족 간 갈등 증가 등의 2차 스트레스로 이어집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스트레스가 확산되는 걸 막으려면 사회적인 노력과 개인적인 노력이 모두 필요한데요.<br /><br />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코로나 우울 극복을 위한 심리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심리상담 핫라인을 운영해 전화를 통한 심리상담 제공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또 국립정신건강센터 '정신건강자가진단' 앱 등을 통해 정신 건강 정보와 무료 자가진단 등을 제공해 코로나 우울 예방을 지원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개개인의 '심리 방역'도 중요한데요.<br /><br />특히 잘못된 정보는 과도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줄 수 있기는 만큼 공신력 있는 기관이나 전문가가 제공하는 정보에 집중해야 합니다.<br /><br />또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하면서 가족이나 친구와 전화, 온라인 등으로 꾸준히 소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